합리적·정서적·행동적 치료(REBT) - 앨버트 앨리스

 

1. 인간관

 

인간은 합리적인 동시에 비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존재

 

2. ABCDE 모형

 

A(선행사건), B(합리적 혹은 비합리적인 신념), C(결과), D(논박), E(효과)

 

3. 인지적 기법

 

암시, 자기방어 최소화, 대안 제시, 기본 전환시키기, 인지적 과제, 정확한 언어 사용, 유추기법

 

4. 정서적 기법

 

합리적 정서 상상, 수치심 제거 연습, 역할 연기, 유머 사용

 

5. 행동적 기법

 

강화기법, 과제 부과, 자극 통제

 

 

인지행동치료 - 아론 벡, 도날드 마에켄바움

 

1. 인간관

 

인간은 자신의 인지, 정서, 행동 과정을 변화시킬 수 있는 존재

 

2. 기본개념 

 

자동적 사고, 역기능적 인지도식, 인지적 오류

 

3. 상담목표

 

부적절한 정서와 부적응적 행동을 적절한 정서와 적응적 행동으로 변화

 

4. 상담기법

 

불안 감소법, 인지 재구성법, 새로운 행동 학습법, 마이켄바움의 인지행동수정

 

 

행동주의 상담 - 스키너, 반두라, 손다이크, 완슨

 

1. 인간관

 

인간행동은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소산

 

2. 기본개념

 

정적 강화인자, 부적 강화인자, 중립적 자극의 제공

 

3. 상담목표

 

구체적이고 관찰 가능하며, 측정될 수 있는 행동술어로 진술

 

4. 상담기법

 

ㅊ[계적 둔감법, 근육 이완 훈련, 인지적 모델링과 사고정지, 인지적 재구조화, 스트레스 접종, 정서적 상상, 토큰 경제, 모델링, 주장 훈련, 자기관리 프로그램, 행동계약, 역할연기, 혐오치료, 바이오피드백 등

 

 

 

 

설정

트랙백

댓글

www.youtube.com/watch?v=nrmgzjQBbG8

 

내가 아들들에게 담백하게 규칙만 이야기하면 되는 일을 왜 화를 내면서 협박으로 일관되게 대하는지를 생각해 보았다.

 

일단 마음속에 부드럽게 말하면 잘 고쳐지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강하게 있고 바로바로 고쳐지기를 바라는 마음 때문에 화를 내면서 말을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은영 선생님이나 서천석 선생님도 아이들은 오래 동안 서서히 바뀌는 존재라고 한다. 그렇게 사람은 한순간에 바뀌지 않는 존재라는 것이다. 나도 내 언어 습관이나 운동 습관, 취미 습관 등 습관으로 만드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잘 안 고쳐지는데 하물며 아이들은 로봇도 아닌데 늘 성급하게 아이들을 대하고 아이들 탓까지 한다.

 

담백하게 규칙을 말하고 선을 정해 주는 정도만 하면 되는 것이다. 

 

그렇게 되지 않을 미래를 끌어다가 '니가 그러면 앞으로 힘들어질 것이다. 까마귀 고기를 먹었냐 왜 그렇게 잊어버리냐, 왜 그렇게 엄마 말을 무시하냐'라고 비난하고 아이의 마음에 상처를 주고 서로 기분이 상하게 된다. 

 

엄마의 특기는 잘되라는 말을 아주 기분 나쁘게 말한다고 한다.

 

담백하게 말하면 된다. 아이는 싸우고 혼내는 존재가 아니라 가르치는 존재라고 한다. 

 

내가 어른답게 말하면 된다. '내가 니 친구냐, 엄마의 권위를 무시하고 선을 넘고 있다'라고 말하는 것은 내가 아이에게 그렇게 싸우듯이 기분 나쁘게 말을 하고 있으니 자신을 보호하고 억울한 감정을 말하는 것인데 말대꾸라고 한다.

 

내가 어른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아이는 아이로서 대처하는 건데 내가 아이의 수준으로 내려가서 대하는 것이 문제일 뿐이다. 아이는 가르치는 존재이다.

설정

트랙백

댓글

www.youtube.com/watch?v=zJtZjoKBz6Y

 

 

설정

트랙백

댓글

중학생의 30% 10명 중 3명이 A이며 등수로 485명 22등이면 2등급이다. 1등급이 되려면 4%안에 전교등수 19등 안에는 들어야 1등급이다. 고등학교에 가면 지역의 1등급이 여러명오게 되므로 2등급으로 밀려나게 되고  4등급 A는 현재의 등수보다 4배, 4, 5등급이 될 수 있다.

 

www.youtube.com/watch?v=cj1mMjKRqbY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