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길랑바레증후군- 엄마투병기18, 퇴원 걱정과 퇴원
2021년 2월 1일 쯤(176일)
병원의 원칙상 최대 3개월까지 입원이 가능한테 엄마는 교통환자도 아니고 해서 설을 앞뒤로 하여 퇴원을 하라는 말을 했다. 엄마는 아직도 다리의 마비는 진행속도가 빠르다가 요즘은 아주 느리게 가고 있고 좀 병의 고통으로 살만하면 치질로 요도의 혹으로 고생을 하고 있는데 퇴원을 하라고 하니 걱정이 앞섰다.
식사도 알아서 세끼를 주고 재활도 전문인 재활치료사가 해주는데 말이다.
엄마와 아빠는 7개월 가까운 병원 생활로 지겨워 하셨고 나가고 싶어 하셨다. 오빠와 나는 재활병원을 또 알아봐야하는지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을 알아봐야 하는지 혼란스러웠다.
그렇게 설을 지나가고 2월 26일에 퇴원을 해도 된다고 해서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는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재활치료와 누웠다 일어나기, 무릎으로 옆으로 이동하기, 지팡이 짚고 야외에 나가서 울퉁불퉁한 길을 걸어보기, 계단을 올라갔다가 내려갔다가 해보기를 훈련시켜 주었다.
2월 26일 금요일(201일, 발병 8개월쯤)
걱정과 우려를 앉고 엄마와 아빠, 나는 집으로 갔다. 아빠가 주무시게 자가도뇨를 내가 해주었다. 그런데 엄마는 나를 못미더워해서 아빠가 하라고 했다. 그러나 아빠 쉬시게 내가 하겠다고 했다. 카테터를 깊숙이 넣지 않아 소변이 다 빠지지 않아 엄마가 배가 아프다고 했다. 내가 다음번에는 더 잘 할 수 있다고 하며 그 다음부터는 실수 없이 2박3일을 해드리고 왔다. 하루에 6번 4시간 간격으로 자가도료를 하는데 밤12시, 새벽4시에도 해야 하는데 하고 나며 쉽게 잠이 들지 않게 되고 엄마가 부시럭 거려서 2일 동안 잠을 못 잤다. 내가 2일 하는데 힘든데 아빠는 몇 달을 그렇게 하시며 잠을 거의 3시간 반도 못 주시셨다. 그런데도 아빠는 일을 만드는 타입이고 깔끔하셔서 그런데 잠시도 쉬지를 않으셨다.
지금도 아빠를 생각하면서 글을 쓰는데 마음이 답답하다. 엄마가 비뇨기과 의사의 말대로 본인이 빼라고 해도 엄두가 안나서 못하겠다고 하고 아빠는 소변의 기능이 너무 더디게 돌아와서 힘들어하니 정말 답답하다.
그렇지만 집에 가셔서 생활하실 수 있게 끓여서 드시기만 하게 국거리와 반찬을 택배로 부쳤고 퇴원했다고 이웃들이 반찬도 갖다가 드리고 해서 식사하시는데 걱정은 덜 하게 되었고 다행히도 집이라는 편안함과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어서 몸은 고되도 마음은 한결 편해지셔서 나도 좀 편안해졌다.
'삶의 자취를 끄적끄적 > 엄마 투병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랑바레증후군- 엄마투병기20, 척수 손상 (1) | 2021.03.22 |
---|---|
길랑바레증후군- 엄마투병기19, 아산병원 비뇨기과진료 (0) | 2021.03.19 |
길랑바레증후군- 엄마투병기17, 감각이 돌아오니 (0) | 2021.03.19 |
길랑바레증후군- 엄마투병기16, 꿈에서 완치된 엄마 (0) | 2021.03.19 |
길랑바레증후군- 엄마투병기15 - 국립교통재활병원으로, 신우신염으로 고생 (0) | 2021.03.19 |